💡 디플레이션 vs 디스인플레이션, 어떻게 다를까?
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“디스인플레이션 기대감”, “디플레이션 우려” 같은 표현이 나옵니다.
비슷하게 생긴 말이지만, 전혀 다른 뜻이기 때문에 구분이 아주 중요해요.
오늘은 이 두 용어를 딱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
📉 디플레이션(Deflation)
물가가 전반적으로 ‘계속 떨어지는’ 현상입니다.
즉, 물가가 전년도보다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경제 전반에 수요가 위축된 상태죠.
물건을 싸게 살 수 있다면 좋은 거 아니냐고요?
문제는 사람들이 “더 싸질 것 같아서” 소비를 미루면, 기업이 팔 게 없고, 투자를 줄이고, 결국 고용까지 악화되는 악순환이 시작된다는 점이에요.
📉 디스인플레이션(Disinflation)
물가 상승률이 점점 낮아지는 현상입니다.
즉, 여전히 물가는 오르고 있지만 오르는 속도는 줄어들고 있는 상태예요.
예를 들어, 작년에 물가가 5% 올랐고 올해는 3% 오른다면, 우리는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에 있는 겁니다.
물가 자체는 계속 오르고 있다는 점에서 ‘디플레이션’과는 명확히 다릅니다.
📊 왜 이 구분이 중요할까요?
정책 대응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.
- 디플레이션: 시장에 돈을 더 푸는 완화정책이 필요 (예: 금리 인하, 유동성 공급)
- 디스인플레이션: 아직 물가 상승이 이어지기 때문에 금리 인하 시점을 신중히 봐야 함
요즘처럼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시기엔, 이 용어들을 구분해 듣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✏️ 오늘의 경제용어 한줄 요약
“디플레이션은 ‘물가 자체가 하락’, 디스인플레이션은 ‘물가 상승폭이 둔화’되는 상태입니다.”
'🔹 경제용어 한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동성이란? 돈이 얼마나 ‘잘 흐르느냐’의 문제입니다 (0) | 2025.04.25 |
---|